KR102520310B1 有效 可调节颈椎高度的功能枕头
기 술 분 야 [0001]본 발명은 사용자의 경추 높이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베개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0002]일반적으로 베개라 함은 잠을 자거나 누울 때 머리를 편하게 받치는 데 쓰는 침구를 말한다. 통상적으로 헝겊으로 만든 둥근 베개와 긴 네모형 베개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베갯속은 솜, 스펀지, 왕겨, 메밀껍질, 깃털, 좁쌀 등이 사용된다. [0003]이러한 베개는 사람이 잠을 잘 때 베개의 부적절한 높이로 인하여 머리와 목 및 어깨의 연결자세가 부자연스럽게 되고, 잠자는 사람의 자세를 부자연스럽게 하기 때문에 목덜미나 어깨 또는 허리 등이 결리게 되고, 심하면 목디스크, 허리디스크 등이 발병될 수 있으며, 경추 부분의 혈행이 원활하지 않아 뇌의 산소 공급 부족현상으로 인하여 잠을 자고 난 후에도 머리가 멍해지게 되고, 심하면 뇌혈관의 압력이 높아져 뇌출혈 또는 뇌졸중 등을 일으킬 위험성이 있다. [0004]특히 일반적인 베개는 사용자가 하늘을 보고 누웠을 때 사용자의 뒷머리와 경추를 지지하는데 가장 큰 목적을 갖도록 제작되는바, 사용자가 옆으로 돌아누웠을 때에는 사용자의 머리와 경추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지 못하게 된다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잠버릇이 심한 사람은 무의식적으로 자주 뒤척이는 경우가 있어 충분히 숙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0005]또한, 베개의 소재 면에서 일반적인 섬유 재질이나 라텍스, 합성수지, 우레탄 폼, 또는 메밀 등의 식물성 소재의 베개는 체열을 흡수하고 통풍이 원활하지 않아서, 구강건조, 호흡불안정, 불균형 경추를 악화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0006]한편, 일반적으로 종래에 사용되는 소재는 사람마다 체중이 다르기 때문에 발생하는 체압의 차이를 적절히 완충하지 못하여 근육, 신경, 혈관을 압박함으로써, 기억력 감퇴, 두통, 팔 저림, 어깨통증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결과, 잘못된 베개의 사용은 불면증의 원인이 되기도 하고 결과적으로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일 요인이 된다. [0007]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음악, 진동, 향기 등으로 숙면을 유도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으나 이러한 방법들은 신체에 맞지 않는 베개에서 비롯되는 문제는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기 때문에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0008]종래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2158943호(사용자 맞춤 베개)가 개시된다. 상기 종래기술은 사용자의 경추 위치와 높이에 맞게 조절되어 안정적이고 편안한 경추 지지가 가능하고, 복수의 구획 포켓부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충전재를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 맞춤 베개를 개시한다. [0009]다만, 상기 종래기술은 경추 지지에 최적화된 충전재 형태를 제시하지 못하며, 단순히 포켓부에 충전재를 채워넣는 구조만을 개시하는 바, 사용자의 느낌에만 의존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러한 방식을 과학적인 방법이라고 볼 수도 없고, 설사 사용자가 수면시 편안함을 느낀다고 하더라도, 이것이 꼭 사용자의 경추에 도움을 주는 상태라고 보기도 어렵기 때문에, 사용자 신뢰성을 확보하기 매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0010](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2158943호 [0011](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0-2016284호 해결하려는 과제 [0012]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바로 눕거나 옆으로 누워 숙면을 취하는 경우 뒤척임이나 자세 수정시 자연스럽게 지지가 가능한 기능성 베개를 제안하고자 한다. [0013]또한, 본 발명은 통기성을 구비하면서도 베개의 입체적인 형상의 유지가 반영구적으로 가능한 기능성 베개의 구조를 제안하고자 한다. 과제의 해결 수단 [0014]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 경추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베개로서, 사용자가 정면으로 누운 상태인 사용자정자세를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의 후두골 중앙을 지지하도록 형성된 후두골 중앙받침부로서, 중앙 측으로 갈수록 점점 높이가 완만하게 상승하는 커브구간을 포함하는, 후두골 중앙받침부; 상기 후두골 중앙받침부의 양단부 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옆머리받침부; 평면을 기준으로, 상기 후두골 중앙받침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후두골 상단받침부로서, 상측으로 갈수록 점점 높이가 완만하게 상승하는 커브구간이 형성된, 후두골 상단받침부; 및 상기 후두골 중앙받침부를 기준으로, 상기 후두골 상단받침부와 대향하는 방향에 배치됨으로써, 사용자의 경추를 지지하도록 형성된 경추받침부로서, 미리 설정된 쿠션레이어 및 제1 에어칩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에어칩수용부의 일측에는 미리 설정된 형태의 에어칩의 충전이 가능하도록 개폐수단이 형성된, 경추받침부; 를 포함하며, 상기 경추받침부는, 경추에 대응되도록 커브구간을 형성하되, 상기 커브구간의 최고점은 상기 후두골 중앙받침부의 최고점보다 더 높게 형성되는, 기능성 베개를 제공한다. [0015]상기 경추받침부는, 평면을 기준으로, 하단부가 외측을 향해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의 양측에는 각각 내측을 향해 만입되는 한 쌍의 만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 및 한 쌍의 만입부는 소정의 연속적인 커브를 형성할 수 있다. [0016]상기 돌출부는, 수직단면을 기준으로, 사용자의 경추와 대면하는 일면으로부터, 상기 일면의 대향면까지 연속적인 커브를 형성하며, 상기 대향면의 일측에는 상기 개폐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0017]상기 돌출부는, 수직단면을 기준으로, 최고점의 높이가 상기 만입부의 최고점 높이보다 더 높게 형성되도록 커브를 형성할 수 있다. [0018]상기 에어칩은, 상면 및 하면이 개방되는 원통 형태이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폴리에틸렌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에어칩수용부 내에, 상기 에어칩의 충전상태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경추받침부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0019]상기 후두골 중앙받침부는, 상기 후두골 중앙받침부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제2 에어칩수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에어칩수용부는, 상기 에어칩의 충전상태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후두골 주변의 지지상태를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020]상기 에어칩은, 미리 설정된 제1 내지 제N 타입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내지 제N 타입은, 각각 직경 또는 높이가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0021]상기 에어칩은, 상기 원통 형태 내에 구 형태의 젤(gel) 유닛이 접합된 상태로 수용되며, 상기 젤 유닛은, 상기 에어칩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0022]상기 경추받침부는, 수직단면을 기준으로, 에어칩레이어, 탄성소켓레이어 및 쿠션레이어가 순서대로 적층된 형태이며, 상기 탄성소켓레이어는,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사용자의 경추가 지지될 때, 압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0023]상기 탄성소켓레이어는, 평면을 기준으로, 중앙 측에 위치된 탄성부재는, 외측에 위치된 탄성부재보다 초기상태의 높이 또는 탄성계수가 더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0024]상기 쿠션레이어는, (a) 미리 설정된 향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향유닛; 또는 (b) 사용자의 경추에 열에너지를 전달하는 온열유닛; 이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0025]본 발명은 에어칩을 활용하여 높이를 조절은 물론 경도까지 조절할 수 있어 높이와 경도의 조절 편의성을 줄 수 있다. [0026]또한, 기능성 베개의 높이와 경도를 자신에 맞게 조절하여 자신이 평소에 자주 취하는 자세를 편안하게 유지시켜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뒤척임이 있을 경우, 변화할 수밖에 없는 지지에 필요한 높이까지 대응하여 편안한 수면을 취하도록 도울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0027]도 1은 본 발명인 기능성 베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기능성 베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기능성 베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 라인을 기준으로 하는 수직단면도이다. 도 5의 (a) 및 (b)는 본 발명인 기능성 베개의 제1 실시예의 변형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기능성 베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직단면도로서, 경추받침부가 변형된 구조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인 기능성 베개에 적용되는 에어칩의 다양한 양태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인 기능성 베개에 적용되는 에어칩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인 기능성 베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수직단면도로서, 방향유닛/온열유닛이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인 기능성 베개가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단말에 압력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0028]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0029]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0030]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0031]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0032]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0033]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베개를 설명한다. 사용자의 후두골과 대면하는 부위를 '전면'이라 정의하고, 전면의 반대면을 '후면'이라 정의한다. 또한, 본원에서는 주로 평면을 기준으로 '상부', '하부' 및 '양측'을 정의하여 설명한다. [0034]도 1 내지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인 기능성 베개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한다. [0035]본 발명인 기능성 베개는 후두골 중앙받침부(110), 옆머리받침부(130a, 130b), 후두골 상단받침부(120) 및 경추받침부(140)를 포함한다. [0036]후두골 중앙받침부(110)는 사용자가 정면으로 누운 상태인 사용자정자세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후두골 중앙을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본인의 기호 또는 상태에 따라, 정면으로 눕거나, 측면으로 누울 수도 있다. 다만, 본원에서는 사용자가 정면으로 누운 상태, 즉, 사용자의 안면이 상방을 향하도록 눕는 자세를 '사용자정자세'로 명명한다. [0037]도 4를 먼저 참조하면, 후두골 중앙받침부(110)는 중앙 측으로 갈수록 점점 높이가 완만하게 상승하는 커브구간을 포함한다. 이러한 커브구간은 사용자의 후두골에 편안한 쿠션감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 때, 후두골 중앙받침부(110)의 최고점은 후술하는 경추받침부(140)의 최고점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낮게 형성된다. 후두골 중앙받침부(110)의 커브구간이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형성될 경우, C자 커브로 형성된 경추에 무리를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사용자의 목디스크 뿐만 아니라, 거북목 등을 오히려 악화시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후두골 중앙받침부(110)의 커브구간은 경추받침부(140)의 커브구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에 형성되는 것이 필요하다. [0038]옆머리받침부(130a, 130b)는 후두골 중앙받침부(110)의 양단부 측에 각각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우측머리 받침부(130b)와 좌측머리 받침부(130a)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옆머리받침부(130a, 130b) 역시 소정의 커브구간을 형성한다.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완만하게 높이가 커지는 커브구간을 형성한다. 옆머리받침부(130a, 130b)가 상대적으로 후두골 중앙받침부(110)보다 높게 형성되는 바, 사용자의 후두골은 후두골 중앙받침부(110)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는 편안함을 제공하며, 양측의 옆머리받침부(130a, 130b)에 의해 사용자 후두골을 감싸는 효과를 발휘하는 바, 사용자의 뒤척임 또는 움직임이 발생되더라도, 사용자 후두골의 위치가 후두골 중앙받침부(110)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0039]개별 사용자에 따라, 소위 잠버릇 내지 움직임은 매우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후두골의 위치가 후두골 중앙받침부(1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사용자 숙면을 위해서 매우 중요하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베개의 이와 관련된 구성이 도시된다. [0040]사용자 후두골을 자연스럽게 정위치시키기 위해, 제1 내지 제3 곡선(120a1, 120a2, 120a3)가 형성된다. 제1 곡선(120a1)은 후두골 중앙받침부(110)의 상단 곡선을 의미한다. 하방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된 곡선인 바, 사용자가 위아래로 이동하더라도 후두골을 다시 자연스럽게 후두골 중앙받침부(110)로 미끄러지게 하는 구성이다. [0041]제2 곡선(120a2)은 후두골 중앙받침부(110) 상단 중 양측부의 모서리로 이해될 수 있다. 제2 곡선(120a2) 역시 후두골 중앙받침부(110)의 중심을 향해 볼록하게 돌출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는 제3 곡선(120a3)에서도 마찬가지이다. [0042]후두골 상단받침부(120)는 평면을 기준으로, 후두골 중앙받침부(11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측으로 갈수록 점점 높이가 완만하게 상승하는 커브구간이 형성된다. 후두골 상단받침부(120)의 상하방향 길이는 상대적으로 경추받침부(140)의 상하방향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후두골 상부 측의 길이는 경추의 길이보다 일반적으로 더 짧기 때문이다. [0043]후두골 상단받침부(120) 및 옆머리받침부(130a, 130b)의 일 예시적 재질로는 폴리에스터 재질로 형성된 데이크론(DACRON) 솜 및 3D 솜이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데이크론 솜은 향균 99.9% 솜인 바, 세균억제 기능이 탁월하다. [0044]경추받침부(140)는 후두골 중앙받침부(110)를 기준으로, 후두골 상단받침부(120)와 대향하는 방향에 배치된다. 사용자의 경추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며, 미리 설정된 쿠션레이어(141) 및 제1 에어칩수용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쿠션레이어(141)는 제1 에어칩수용부(140')를 밀폐시키는 레이어를 의미할 수도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별도의 쿠션수단이 삽입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0045]도 4에서는 쿠션레이어(141)가 제1 에어칩수용부(140')를 둘러싸는 레이어 형태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제1 에어칩수용부(140')는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에어칩(160)이 내장된다. 이 때,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에어칩(160)을 충전 가능하도록 제1 에어칩수용부(140')는 개폐수단(B)이 형성된다. 개폐수단(B)은 사용자의 후두골에 간섭되거나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경추받침부(140)의 후면(또는 저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46]전술한 바와 같이, 경추받침부(140)는, 경추에 대응되도록 커브구간을 형성하되, 커브구간의 최고점은 후두골 중앙받침부(110)의 최고점보다 더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추받침부(140)의 높이는 에어칩(160)의 충전을 통해 조절할 수 있다. 개폐수단(B)을 개방한 후, 사용자는 에어칩(160)을 삽입함으로써, 경추받침부(140)의 높이를 상승시킬 수 있다. 개별 사용자마다 체형이 상이한 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자유롭게 에어칩(160)을 삽입할 수 있는 사용자자유도를 부여한 구성이다. [0047]삭제 [0048]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베개는 겉커버(150)를 포함할 수 있다. 겉커버(150)는 전술한 후두골 중앙받침부(110), 옆머리받침부(130a, 130b), 후두골 상단받침부(120) 및 경추받침부(140)를 모두 커버하도록 구성된다. 일 예시로서, 겉커버(150)는 폴리에스터 재질이 100%로 구성되며, 측면은 메쉬(mesh) 영역이 형성되어 통기성이 확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겉커버(150)의 안감은 폴리우레탄 재질로 100% 구성될 수 있다. [0049]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베개는 '성인용' 및 '아이용'으로 구분될 수 있다. 성인과 아이는 신체적인 차이가 크기 때문이다. 일 예시로서, 성인용은 데이크론솜 200g, 3D 솜 550g 및 에어칩(160) 130g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아이용은 데이크론솜 100g, 3D 솜 250g 및 에어칩(160) 70g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중량은 일 예시일 뿐, 제작자의 선택에 따라, 사용자에게 최적화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을 미리 명시한다. [0050]도 2를 다시 참조하여, 평면을 기준으로 경추받침부(140) 하단의 커브를 설명한다. 경추받침부(140)는 평면을 기준으로, 돌출부(143) 및 만입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0051]돌출부(143)의 골은 평면의 중앙에 형성된 연장선에 대응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외측을 향해 소정의 곡률을 형성하면서 돌출된다. 돌출부(143)의 양측에는 내측을 향해 만입되는 한 쌍의 만입부(142)가 형성된다. 이 때, 돌출부(143) 및 만입부(142)는 연속적인 커브구간으로 형성된다. [0052]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베개는 돌출부(143)가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경추를 안정적으로, 그리고 집중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기능성 베개를 통해, 사용자 경추의 C자 커브를 형성하기 위함인 바, 사용자 신체 중 경추 이외의 부분으로 압력이 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한 쌍의 만입부(142)를 형성하는 것이다. 경추받침부(140)가 사용자의 경추 이외에 다른 신체부분을 지지할 경우, 상대적으로 사용자의 경추를 지지하는 힘 비중이 감소할 수 있는 바,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0053]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베개의 제1 실시예에 대한 변형예를 설명한다. 후두골 중앙받침부(110)는, 후두골 중앙받침부(110)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제2 에어칩수용부(145)를 더 포함하는 구성이다. [0054]제2 에어칩수용부(145)는 에어칩의 충전상태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후두골 주변의 지지상태를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후두골 형태가 상이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사용자 후두골을 더 감싸게 하기 위함이다. 일 예시로서, 후두골 또는 머리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사람 또는 여성들에게 매우 효과적일 수 있다. 제2 에어칩수용부(145)는 지퍼(1451) 및 지퍼손잡이(1452)를 통해 개폐될 수 있으며, 이들은 기능성 베개의 저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55]도 6은 본 발명인 기능성 베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직단면도로서, 경추받침부가 변형된 구조를 도시한다. 전술한 제1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0056]제2 실시예의 경추받침부(240)는 에어칩레이어(242), 탄성소켓레이어(241') 및 쿠션레이어(246)가 순서대로 적층된 구조이다. 에어칩(260a, 260b, 260c)으로만 구성된 것이 아니라,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탄성부재(247a, 247b, 247c)가 구비됨을 그 특징으로 한다. 제1 실시예와는 달리,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재(247a, 247b, 247c)에 의해 사용자의 경추가 지지됨으로써, 사용자는 보다 경추에 대한 강한 반작용 힘을 느낄 수 있다. 이 때, 탄성부재(247a, 247b, 247c)가 직접 사용자 경추를 지지하는 경우, 사용자가 불편할 수 있는 바, 이를 완충시키고, 사용자에게 쿠션감을 제공하기 위해, 별도의 쿠션레이어(246)가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쿠션레이어(246)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재질 이외에, 라텍스, 메모리폼, 거위털, 목화솜, 양모, 편백나무, 천연씨앗, 메밀껍질, 폴리프로필렌(PP)솜, 마이크로 비즈(EPS), 발포폴리프로필렌(EPP) 등을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0057]탄성부재(247a, 247b, 247c)는 탄성부재지지대(248)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고정되며, 탄성부재지지대(248)는 안감(241)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탄성부재지지대(248)는 탄성부재(247a, 247b, 247c)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소정의 강성을 갖는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0058]또한, 탄성소켓레이어(241')는, 중앙 측에 위치된 탄성부재(247a)가 외측에 위치된 탄성부재(247b, 247c)보다 초기상태의 높이 또는 탄성계수가 더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경추에 보다 강한 탄성력을 통해 지지하기 위함이다. [0059]도 7 및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적용되는 에어칩(260a, 260b, 260c)을 설명한다. [0060]도 7을 먼저 참조하면, 도 7의 (a) 내지 (c)는 모두 원통형 구조로 이해될 수 있다. 도 7의 (a)는 상면 및 하면이 개방된 구조를 의미하는 바, 양방향으로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구조이다. 도 7의 (c) 역시 동일하나, 서로 직경이 상이한 구조를 의미한다. 다양한 형태의 에어칩(260a, 260b, 260c)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욕구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0061]도 7의 (b)는 상면 및 하면이 폐쇄된 구조이다. 즉, 내부에 공기를 가둔 구조로 이해될 수 있다. 내부의 공기가 소정의 쿠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0062]도 8을 참조하면, 에어칩의 다른 구조가 도시된다. 상면 및 하면이 모두 개방된 원통형 구조로써, 그 내부에는 구 형태의 젤(gel) 유닛(362)이 접합된 상태로 수용될 수 있다. 즉, 원통형 몸체(361) 내에 수용된 구 형태의 젤 유닛(362)이 말랑말랑한 쿠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젤 유닛(362) 내에 삽입되는 젤은 공지된 모든 형태의 젤이 적용될 수 있으며, 수면효과를 발휘하는 기능성 물질이 수용될 수도 있다. 젤 유닛(362) 내부에는 기능성 물질이 수용된 캡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0063]도 9는 본 발명인 기능성 베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수직단면도로서, 방향유닛/온열유닛이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다. [0064]도 9를 참조하면, 쿠션레이어(449)에 방향유닛 또는 온열유닛(470)이 삽입되는 구조를 도시한다. 일 예시로서, 사용자의 숙면에 도움을 주는 라벤더 향을 발산하는 방향유닛이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방향유닛은 별도로 사용자들에게 판매될 수 있으며, 액상타입으로 판매된 후, 사용자가 주기적으로, 방향유닛에 분사를 하여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0065]또한, 온열유닛은 소위 '핫팩'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목이 뻐근하거나, 목 근육에 통증이 있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매우 효과적일 수 있다. 전자레인지나 별도의 가열수단을 통해 온열유닛을 가열시킨 후, 이를 쿠션레이어(449)에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0066]도 10은 본 발명인 기능성 베개가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단말에 압력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0067]도 10을 참조하면, 전술한 구성 각각에는 제1 내제 제5 압력센서(181, 182, 183, 184, 185)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압력센서(181, 182, 183, 184, 185)는 사용자의 머리의 하중이 적절하게 분배되는지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추가 효과적으로 지지되는지 함께 확인할 수 있다. [0068]일 예시로, 제2 압력센서(182)로부터 획득되는 압력정보가 미리 설정된 K값보다 작을 경우, 이는 사용자의 경추가 적절하게 지지되지 않음을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전술한 에어칩(160)을 더욱 충전함으로써, 사용자 경추에 지지되는 힘을 증가시킬 수 있다. [0069]또한, 이러한 압력정보들은 통합서버(190)에 연결된 머신러닝모델(191)을 통해 기계학습되어 사용자단말을 통해 이러한 학습데이터가 지속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현재 본인의 상태를 사용자단말을 통해 모니터링할 수 있다. [0070]본 발명에서 상기 실시형태는 하나의 예시로서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하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부호의 설명 [0071]110: 후두골 중앙받침부 120: 후두골 상단받침부 130: 옆머리받침부 140: 경추받침부 150: 겉커버 160, 260a, 260b, 260c: 에어칩
现在,一起体验智慧芽的产品和服务
自动注册,无需人工审核,即可立即开始查询专利
立即注册
澳门正版图库

AI助手